[주식 용어] 금리에 대하여 알아보자!
금리란 ?
돈을 빌리거나 빌려줄 때 발생하는 비용 또는 수익을 비율로 나타낸 것
-> 쉽게 말해, 돈을 빌리거나 맡길 때의 '사용료'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case 1. 돈을 빌릴 때:
친구에게 100만원을 빌리면서 "고마우니 1년 뒤에 105만원을 갚을게"라고 하면,
여기서 추가로 갚는 5만원이 바로 "이자" 입니다.
이 5만원을 원금(100만원)으로 나누면 금리(5%)가 되는 겁니다.
금리 = (이자/원금)*100
case 2. 돈을 맡길 때:
은행에 100만원을 저축했더니 1년 뒤 105만원이 되었으면, 이 때 5만원이 금리로 받은 "이자" 입니다.
금리가 높다면 ?
1. 저축하는 사람 -> 더 많은 이자를 받으니 유리하다.
2. 돈을 빌리는 사람 -> 돈 빌리는 비용이 비싸지니 대출을 꺼리게 된다.
금리가 낮다면 ?
1. 저축하는 사람 -> 이자가 적어서 은행에 돈을 맡기는 매력이 줄어든다.
2. 돈을 빌리는 사람 -> 돈 빌리는 비용이 싸지니 대출을 많이 하게 된다.
금리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
1. 집값과 대출 -> 금리가 낮으면 대출이 쉬워져 사람들이 집을 사려고 하고, 집값이 오를 수 있다.
2. 저축과 소비 -> 금리가 높으면 저축이 늘어나고, 소비는 줄어든다.
금리가 낮으면 소비가 늘어나고, 저축은 줄어든다.
-----------------------------------------------------------------------------------------------------------------------------------------------------------------
1. 금리가 높을 때의 사회적 영향
1) 가계 소비 감소
2) 부동상 시장 위축
3) 불평등 심화
4) 기업의 투자 감소
5) 실업률 증가
2. 금리가 낮을 때의 사회적 영향
1) 소비와 투자 촉진
2) 부동산 과열
3) 저축 감소
4) 부채 증가